김경주 시집 민음사




바늘의 무렵




바늘을 삼킨 자는 자신의 혈관을 타고 흘러 다니는 바

늘을 느끼면서 죽는다고 하는데


한밤에 가지고 놀다가 이불솜으로 들어가 버린 얇은 바

늘의 근황 같은 것이 궁금해질 때가 있다


끝내 이불 속으로 흘러간 바늘을 찾지 못한 채 가족은

그 이불을 덮고 잠들었다


그 이불을 하나씩 떠나면서 다른 이불 안에 흘러 있는

무렵이 되었다

이불 안으로 꼬옥 들어간 바늘처럼 누워 있다고,  가족에

게 근황 같은 것도 이야기하고 싶은 때가 되었는데


아직까지 그 바늘을 아무도 찾지 못했다 생각하면 입이 

안 떨어지는 가혹이 있다


발설해서는 안 되는 비밀을 알게 되면,  사인을 찾

아내지 못하도록 궁녀들은 바늘을 삼키고 죽어야 했다는 

옛 서적을 뒤적거리며


한 개의 문에서 바늘로 흘러와 이불만 옮기고 살고

있는 생을,  한 개의 문에서 나온 사인과 혼동하지 않기

로 한다


이불 속에서 누군가 손을 꼭 쥐어 줄 때는 그게 누구의

손이라도 눈물이 난다 하나의 이불로만 일생을 살고 있는

삶으로 기꺼이 범람하는 바늘들의 곡선을 예우한다





마침내 아주 작은 책이 되어 버린 어떤  '무렵'




이 책의 효과는


눈을 감고 있으면

누구나 잠시 후 자신이 바람이 된다는 걸 알기까지


눈을 감은 채

나는....... 바람이....... 된다......

라고

자신의 눈에게 속삭일 때까지


눈을 감고

당신은 스스로를 바람이라고 한 번만 생각해 보아라


그대여 잘 흘러가고 있는가


그곳이 어디든 

바람이 되어 돌아다니다가


이제 눈을 뜨면

누구나 자신이 아직 돌아오지 못한 바람의 시차라고 생

각해 보아야 한다


자신이 눈이 되어 바람이 돌아올 즈음


무용수의 발처럼


눈을 감은 채

누구나 자신의 무덤 속에 한 번은 누워 있을 수 있다


이것이 내가 아는 음역이다




종이로 만든 시차3

-종이연



좋은 연을 만들기 쉬해서는 좋은 재료도 중요하지만 좋

은 바람을 상상할 줄 아는 것이 먼저다.


연은 일단 손을 떠나기 시작하면 바람과 가장 닮은 시

간을 찾고 바람이 멀리서 듣는 소리를 듣고 바람이 옮기고

있는 느낌을 이해하려고 애쓴다. 연을 실로부터 풀어 주는

가장 좋은 방법은 연이 바람을 느끼도록 해 주는 것이다.

눈을 감고 기다리면 내가 보지 못한 사이에 바람이 연을

데려간다.  연날리기란 바람과 연 사이에 '긴 현' 을 놓아

주는 것에 불과하다


공책 한 권을 앞에 놓고 이것을 종이비행기로 바꿀 것인

가,  종이배로 바꿀 것인가의 갈등이 우리가 지금까지 날리

고 있는 연의 항해이다.  그 시차는 보이지 않아도 분명 어

딘가로 이어져 있다고 믿는다.  음악을 듣는 일이 허공에 쌓

이고 있는 하나의 사회로 우리가 드나드는 일이듯이,  시란

질료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그 선을 믿어야 한다는 어느

선생님의 말씀처럼,  우리들의 보이지 않는 서로의 연처럼, 

그 시차에 서명한다.




"진정한 여행자들은 떠나기 위해 떠나는 자들이다." 


   - 보들레르.<여행> -


"여행의 언어는 시차이다. ...... 여행이란 아주 단순하게 말하면

시차를 겪다가 오는 일종의 경험인데, 그 경험의 끝에서

우리는 늘 새로운 시차를 겪어야한다." 





'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황명걸 시화집  (0) 2018.06.25
나쁜 소년이 서 있다  (0) 2018.06.25
창비시선 184 옛날 녹천으로 갔다  (0) 2018.06.22
루비아야트  (0) 2018.06.20
그래서 당신  (0) 2018.06.19

+ Recent posts